티스토리 뷰
1. 다발성 골수종이란?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은 혈액 속 형질세포(plasma cell)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해 골수 내 종양을 형성하는 혈액암의 일종입니다. 이로 인해 면역력이 저하되고, 뼈가 약해지며, 신장 기능 저하, 빈혈, 감염 등의 합병증이 동반됩니다. 증상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으로 뼈 통증, 반복적인 감염, 피로감, 고칼슘혈증 등이 나타납니다. 조기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진과 위험 요인에 대한 관심이 중요합니다. 치료는 환자의 연령, 건강 상태, 질환의 진행 정도에 따라 맞춤형으로 진행됩니다. 그중에서도 핵심 치료법 중 하나는 항암화학요법(Chemotherapy)입니다.
2. 다발성 골수종 항암치료 종류
항암요법은 암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억제하거나 파괴하는 치료로, 다발성 골수종에서는 다음과 같은 약물이 조합해 사용됩니다.
2-1. 표준 항암제(세포독성 화학요법)
- 멜팔란(Melphalan): 세포의 DNA 합성을 방해해 암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알킬화제.
- 시클로포스파미드(Cyclophosphamide): DNA 손상을 일으켜 암세포 성장을 억제.
- 도소루비신(Doxorubicin, Adriamycin): DNA 복제 차단 및 세포 자멸 촉진.
2-2. 프로테아좀 억제제
- 보르테조밉(Bortezomib, 벨케이드): 암세포 내 단백질 분해 기능 차단으로 세포 스트레스 유발.
- 카필조밉(Carfilzomib, 키프롤리스): 선택성이 높아 부작용을 줄이면서 강력한 항암 효과.
2-3. 면역조절제 (IMiDs)
- 레날리도마이드(Lenalidomide, 레블리미드): 면역세포 활성화 및 혈관 생성을 억제.
- 탈리도마이드(Thalidomide): 암세포 증식 억제 및 혈관 생성 차단.
- 포말리도마이드(Pomalidomide): 강력한 면역 조절 및 항암 효과.
2-4. 단일클론 항체 치료제
- 다라투무맙(Daratumumab, 다라잘렉스): CD38 단백질 표적 공격으로 암세포 제거.
- 엘로투주맙(Elotuzumab): SLAMF7 표적을 통해 면역세포 활성화 및 항암 작용.
2-5. 스테로이드 치료제
-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프레드니손(Prednisone): 염증 완화와 항암제 효과 증대.
3. 다발성 골수종 항암치료 과정
3-1. 진단 및 치료 계획 수립
혈액 검사, 골수 검사, 영상 검사(MRI, CT, PET-CT) 등을 통해 병기 및 진행 상태를 정확히 파악합니다. 환자의 나이, 신장 기능, 동반 질환 등을 고려해 맞춤형 치료 계획을 세웁니다.
3-2. 유도요법 (Induction Therapy)
진단 초기, 암세포 수를 줄이기 위해 강력한 3제 병합 요법(프로테아좀 억제제 + 면역조절제 + 스테로이드)을 시행합니다. 치료 반응을 평가하며, 다음 단계로 넘어갈 준비를 합니다.
3-3. 고용량 항암요법 및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
젊고 건강한 환자는 고용량 멜팔란 치료 후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ASCT)을 진행해 남아 있는 암세포를 제거하고 조혈 기능을 회복시킵니다.
3-4. 유지요법 (Maintenance Therapy)
고용량 치료 이후에는 저용량 레날리도마이드 등을 장기적으로 투여해 재발을 예방합니다.
3-5. 재발 및 난치성 치료
재발 시 기존 치료제 변경 또는 새로운 약물을 추가합니다. 최근에는 CAR-T 세포 치료(Chimeric Antigen Receptor T-cell Therapy)가 도입되어 난치성 환자에게도 희망을 주고 있습니다.
4. 항암제 정맥주사(IV) 과정과 중요성
4-1. 혈관 확보
항암제는 대부분 정맥주사로 투여됩니다. 일반적으로 말초 정맥(팔, 손등)을 이용하지만 장기 치료 시에는 중심정맥카테터(CVC) 또는 피하삽입형 포트(Port-A-Cath)를 삽입해 혈관 손상을 방지합니다.
4-2. 정맥주사 투여 방식
- 일반 정맥주사: 단기간 치료에 적합하며 혈관 손상 가능성이 있습니다.
- 중심정맥카테터(CVC): 장기 치료에 사용하며 큰 혈관을 통해 안정적으로 약물을 전달합니다.
- 지속 주입(Pump Infusion): 휴대용 펌프를 통해 수일간 천천히 주입, 부작용 완화 및 약물 효율성을 높입니다.
4-3. 주사 후 관리
- 수액 치료: 신장 보호 및 탈수 방지를 위해 생리식염수 또는 링거액을 투여합니다.
- 부작용 관리: 항구토제, 항생제, 진통제 등을 병용해 부작용을 최소화합니다.
- 정기 혈액 검사: 치료 중 백혈구, 적혈구, 혈소판 수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해 안전성과 치료 효과를 모니터링합니다.
다발성 골수종의 항암치료는 다양한 항암제 조합과 정맥주사 요법을 통해 맞춤형으로 이뤄집니다. 치료법은 계속 발전하고 있으며 CAR-T 세포 치료, 신형 표적 치료제 등이 새로운 돌파구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환자의 삶의 질 유지입니다. 치료 중에도 면역력 유지와 부작용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정기 검진과 꾸준한 관리만이 완치를 향한 길을 열어줍니다.
마지막으로, 다발성 골수종과 관련해 주목할 만한 키워드를 정리합니다.
다발성골수종, 항암치료, 정맥주사, 멜팔란, 보르테조밉, 레날리도마이드, 조혈모세포이식, CAR-T세포치료, 유지요법, 부작용관리
'건강 & 복지 (Health & Welfar)'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인두암 방사선 치료와 후유증, 그리고 치료 후 관리 방법 (1) | 2025.03.06 |
---|---|
외상성 뇌출혈: 원인, 증상, 치료 및 예방법 (0) | 2025.03.06 |
맞춤형급여안내(복지멤버십)란? (0) | 2025.03.04 |
항암 면역력을 높이는 슈퍼푸드 5가지 (0) | 2025.03.04 |
비인두암: 조기 발견이 중요한 희귀 암 (0) | 2025.03.02 |